프랑스-시암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시암 전쟁은 1893년 프랑스와 시암(현재의 태국) 사이에서 벌어진 무력 충돌이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총독의 요구로 시작되어, 시암이 메콩 강 동쪽 영토 할양을 거부하고 프랑스 상인 살해 사건이 발생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 프랑스는 군함을 방콕으로 진격시키고 시암 해안을 봉쇄하며 압박했고, 결국 시암은 프랑스의 요구를 수용하여 라오스를 프랑스에 할양하고 배상금을 지불했다. 이 전쟁의 결과로 프랑스는 인도차이나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했으며, 시암은 영토 일부를 잃고 프랑스의 보호령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3년 분쟁 - 제1차 마테벨레 전쟁
제1차 마테벨레 전쟁은 1893년 영국 남아프리카 회사와 마타벨레 왕국 간의 무력 충돌로, 영국군의 승리와 로디지아 건설로 이어졌다.
프랑스-시암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프랑스-시암 위기 (1893) | |
![]() | |
날짜 | 1893년 7월 13일 – 1893년 10월 3일 |
장소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암 |
결과 | 프랑스의 승리 |
영토 변경 | 메콩강 동쪽 둑의 땅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할양됨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프랑스 공화국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
교전국 2 | 시암 왕국 |
지휘관 및 지도자 | |
프랑스 | 오귀스트 파비 장 드 라느상 |
시암 | 쭐랄롱꼰 데와웡세 빠누랑씨 안드레아스 뒤 플레씨 |
전력 | |
프랑스 | 알 수 없음 |
시암 | 알 수 없음 |
사상자 및 피해 | |
프랑스 | 사망 3명, 부상 3명 |
시암 | 사망 16명, 부상 20명 |
명칭 (태국어) | |
로마자 표기 | wikrittakan roso-roisipsong |
IPA (태국어) | wí krít tàʔ kaːn rɔː sɔ̌ː rɔ́ːj sìp sɔ̌ːŋ |
해석 | 짜끄리 112년의 위기 |
2. 배경
분쟁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총독 장 드 라느상이 오귀스트 파비를 방콕 영사로 파견하여 라오스 지역을 프랑스 통치 하에 두라고 요구하면서 시작되었다. 방콕 정부는 영국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잘못 판단하고 메콩강 동쪽 영토 할양을 거부하였으며, 오히려 해당 지역의 군사 및 행정력을 강화했다.[14][1]
1892년 9월, 캄무안과 농카이의 시암 행정관이 메콩강 중류에서 프랑스 상인 세 명을 추방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중 두 명(샴푸누아, 에스키로)은 아편 밀수 혐의가 있었다.[15][16][1][2] 그 직후, 루앙프라방의 프랑스 영사 빅토르-알퐁스 마시는 열병과 실망감 속에서 사이공으로 돌아가던 중 자살했다.[17][15][1][2] 프랑스에서는 식민지 로비(Parti Colonial|파르티 콜로니알프랑스어)가 이러한 사건들을 개입의 구실로 삼아 민족주의적 반시암 정서를 부추겼다.[15][18][2][3]
마시의 죽음 이후 오귀스트 파비가 새로운 프랑스 영사로 임명되었다. 1893년 3월, 파비는 해당 영토가 베트남에 속한다고 주장하며 시암 측에 캄무안 남쪽 메콩강 동쪽에 있는 모든 군사 기지를 철수할 것을 요구했다. 이러한 요구를 뒷받침하기 위해 프랑스는 군함 뤼탱(Lutin)을 방콕으로 보내 프랑스 공사관 근처 짜오프라야강에 정박시켰다.
3. 경과
시암이 프랑스의 요구를 거절하자,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총독 장 드 라느상은 1893년 4월 분쟁 지역에 세 방향으로 병력을 보내 프랑스의 통제권을 확립하려 시도했다. 메콩강 서쪽에 주둔하던 8개의 소규모 시암 수비대는 프랑스 중앙 부대가 도착하자 철수했으나, 다른 두 방면에서는 저항에 부딪혔다. 북쪽에서는 프랑스군이 콩 섬에서 시암군에게 포위되었고 토로(Thoraux)라는 장교가 포로로 잡혔다. 남쪽에서는 프랑스군이 진격하던 중 껭껫에서 시암군의 매복 공격을 받아 프랑스 경찰 감찰관 그로구랭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19][4] 이 사건은 이후 프랑스가 군사적으로 개입하는 주요 빌미가 되었다. 이러한 충돌로 인해 방콕과 서방 국가들 간의 관계는 악화되었으며, 프랑스는 시암에 배상을 요구했다. 한편 영국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자국민 보호를 명분으로 차오프라야강 입구에 세 척의 군함을 파견했다.[20]
1893년 7월, 프랑스는 시암의 허가 없이 슬루프선 Inconstant|앵콩스탕프랑스어과 포함 Comète|코메트프랑스어를 차오프라야강을 통해 방콕으로 보냈다. 7월 13일, 이 두 프랑스 군함은 강 하구의 팍남 요새에서 시암군의 공격을 받았으나(팍남 사건)[21], 즉시 반격하여 방어선을 돌파하고 방콕으로 향했다.[22]
프랑스 군함들은 방콕의 대왕궁에 함포를 겨눈 채, 7월 20일 시암 정부에 최후통첩을 보냈다. 최후통첩의 내용은 메콩강 동쪽 영토 할양, 해당 지역 주둔 시암군 철수, 팍남에서의 전투 행위에 대한 배상금으로 지불, 그리고 영토 분쟁 지역에서 발생한 프랑스인 사망 사건(특히 그로구랭 사망 사건)의 책임자 처벌 등이었다.[22] 시암이 최후통첩의 요구 조건을 즉각 수용하지 않자, 프랑스는 시암 해안을 봉쇄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22]
결국 영국으로부터 별다른 지원을 기대할 수 없었던 시암은 프랑스가 내건 모든 조건을 받아들이며 굴복할 수밖에 없었다.[23] 이에 더해 프랑스는 짠타부리의 일시적 점령과 바탐방, 시엠리아프 및 메콩강 서안 25km 이내 지역의 비무장화를 추가로 요구했다.[22] 이 분쟁은 1893년 10월 3일 프랑스-시암 조약의 체결로 마무리되었다.[22]
3. 1. 그로구랭 사망 사건
그로구랭(Grosgurin) 경감은 라오스에 주둔한 프랑스 감찰관이자 베트남 민병대 사령관이었다. 그는 오귀스트 파비처럼 이 지역에서 여러 탐험 원정에 참여했다.[4][5] 그는 1893년 4월 안남산맥을 넘어 캄무안(오늘날의 타케크)의 라오스 지역으로 진입하여 분쟁 지역을 점령하기 위해 파견된 프랑스 군사 부대의 일원이었다.[2] 이 부대는 5월 25일까지 캄무안의 시암 위원을 몰아내는 데 처음에는 성공했다.[4][5]
그 직후인 6월 5일, 시암 위원은 병상에 누워 민병대와 함께 야영하고 있던 그로구랭이 있던 키엔 켓 마을에 기습 공격을 가했다.[4][5] 시암 정부 대표는 위원에게 "필요하다면 최선을 다해 싸워서 프랑스군을 물러나게 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보인다.[2][6] 이 기습으로 마을이 불타고 그로구랭과 베트남인 17명이 사망했다.[6]
이 사건과 그로구랭의 죽음은 "캄 무온(키엔 체크) 사건"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궁극적으로 프랑스의 강력한 개입의 구실이 되었다.[2][7]
3. 2. 팍남 사건
시암이 프랑스의 요구를 거절하자, 프랑스 총독 장 드 라느상은 1893년 4월 메콩강 유역에 세 방향으로 병력을 보내 프랑스의 통제를 주장하였다. 메콩 강 서쪽의 시암군은 철수했으나, 다른 지역에서는 저항이 발생했다. 북쪽에서는 프랑스군이 콩 섬에서 포위되었고, 남쪽에서는 진격 중 매복 공격을 받아 프랑스군 장교 그로귀랭(Grosgurin)이 사망하는 등 피해가 발생했다.[19] 이러한 사건들로 인해 방콕과 서방 국가들 간의 관계는 악화되었고, 프랑스는 시암에 배상을 요구했다. 한편, 영국은 상황 악화 시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차오프라야강 입구에 세 척의 군함을 파견했다.[20][1]
1893년 7월, 프랑스는 시암의 허가 없이 슬루프선 Inconstant|앵콩스탕프랑스어과 포함 Comète|코메트프랑스어를 보내 차오프라야강을 거슬러 방콕으로 향하도록 했다. 7월 13일, 이 두 척의 프랑스 군함은 팍남의 요새에서 시암군의 공격을 받았다.[21][9] 프랑스군은 즉시 반격하여 방어선을 돌파하고 방콕으로 계속 나아갔다.[22][2]
프랑스 군함들은 방콕의 대왕궁에 함포를 겨눈 채, 7월 20일 시암 정부에 최후 통첩을 보냈다. 최후 통첩의 내용은 메콩강 동쪽 영토 할양, 해당 지역 주둔 시암군 철수, 팍남에서의 전투 행위에 대한 배상금으로 지불, 그리고 영토 분쟁 지역에서 발생한 프랑스인 사망 사건의 책임자 처벌 등이었다.[22][2] 시암이 이 최후 통첩에 즉각 응하지 않자, 프랑스는 시암 해안을 봉쇄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22][2]
결국 영국으로부터 별다른 지원을 기대할 수 없었던 시암은 프랑스가 내건 모든 조건을 수용하며 굴복할 수밖에 없었다.[23][3] 프랑스는 이에 더해 짠타부리의 일시적 점령과 바탐방, 시엠리아프 및 메콩강 서안 25km 이내 지역의 비무장화를 추가로 요구했다.[22][2] 이 분쟁은 1893년 10월 3일 프랑스-시암 조약의 체결로 마무리되었다.[22][2]
4. 재판
캄무안 지역의 프랑스 위원 그로스귀랭 살해 사건 이후, 프라 욧은 시암 정부에 의해 책임자로 지목되었다.[6][10] 그는 1894년 3월 열린 첫 재판에서는 무죄를 선고받았다.[6] 그러나 이후 1894년 6월, 프랑스와 시암 양측이 참여하는 "프랑스-시암 혼합 법원"이 소집되었다.[6] 이 법원은 프라 욧이 키엔 켓에 있는 그로스귀랭의 집을 포위하기 위해 자신의 소규모 베트남 민병대보다 많은 병력을 동원했으며, 그의 명령에 따라 그로스귀랭과 탈출하지 못한 베트남인들이 살해되고 집이 불태워졌다고 결론 내렸다.[7][11]
결국 시암과 프랑스 간의 공동 협정에 따라 프라 욧은 20년의 형벌 노역을 선고받았다.[6] 당시 그의 변호인은 스리랑카 출신의 변호사 윌리엄 알프레드 틸레케였는데, 그는 훗날 시암의 법무 장관으로 임명되고 국왕으로부터 작위를 받았다.[7][12][13] 현재 왕립 태국 육군의 나콘 파놈 주에 위치한 프라 욧 무앙 콴 요새는 태국과 라오스 국경에서 프라 욧을 기념하고 있다.[13]
5. 결과
결국 시암은 라오스 지역을 프랑스에 할양하는 데 동의하였고, 이로 인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는 크게 확장되었다.[1][2] 1896년 프랑스는 영국과 라오스와 영국령 상부 버마 간의 국경을 정하는 조약에 서명했다.[1][2] 라오스 왕국은 하노이의 인도차이나 총독 산하 보호령이 되었다.[1][2] 라오스 획득에 큰 역할을 한 파비는 하노이에서 이러한 공식적인 절차를 감독했다.[1][2]
당시 프랑스와 영국은 모두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각자의 영향력을 확보하는 데 강한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었다.[1][2] 1890년대에는 중국 윈난으로 가는 통상로를 확보하기 위해 두 차례나 전쟁 직전까지 가는 등 긴장이 고조되기도 했다.[2] 그러나 해당 지역의 험준한 지형으로 인한 군대 이동의 어려움과 높은 비용, 그리고 양측 모두 말라리아와 같은 질병의 유행으로 고통받고 있었기 때문에 실제 전쟁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1][2] 결국 1904년 프랑스와 영국은 영불 협상을 통해 여러 이견을 해소하고 동남아시아에서의 영토 분쟁을 종결시켰다.[1][2]
프랑스는 1907년까지 찬타부리와 뜨랏 지역을 계속 점령했으며, 시암은 캄보디아의 바탐방, 시엠립, 반테이멘체이 지역을 추가로 프랑스에 할양해야 했다.[2]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Lao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2]
서적
The Kingdoms of Laos: Six Hundred Years of Histor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1
[3]
서적
Southeast Asia: A Historical Encyclopedia, from Angkor Wat to East Timor
https://archive.org/[...]
ABC-CLIO
2004
[4]
서적
The Indochinese Experience of the French and the Americans: Nationalism and Communism in Cambodia, Laos, and Vietnam
Indiana University Press
2001
[5]
간행물
L'affaire de Siam, 1886-1896
https://archive.org/[...]
Chamuel
[6]
문서
The Peoples and Politics of the Far East
https://books.google[...]
1895
[7]
웹사이트
The Case of Kieng Chek Kham Muon before the Franco-Siamese Mixed Court. Constitution of the Mixed Court and rules of procedure
https://archive.org/[...]
Bangkok?
2012-02-03
[8]
문서
The British foreign office and the Siamese-Malay states 1890-97
Cambridge
1971
[9]
서적
Commerce in War by Llewellyn Archer Atherley, p.182
https://books.google[...]
2012-02-03
[10]
웹사이트
archive
https://timesmachine[...]
2012-02-03
[11]
웹사이트
archive
https://timesmachine[...]
2012-02-03
[12]
웹사이트
Official history of Tilleke & Gibbons
http://tillekeandgib[...]
Tillekeandgibbins.com
2012-02-03
[13]
서적
Subject Siam: Family, Law, and Colonial Modernity in Thailand
Cornell University Press
[14]
문서
1997
[15]
문서
The Kingdoms of Laos
http://books.google.[...]
[16]
문서
1997
[17]
문서
1997
[18]
문서
2004
[19]
문서
2001
[20]
문서
1997
[21]
문서
Commerce in War
http://books.google.[...]
[22]
문서
The Kingdoms of Laos
http://books.google.[...]
[23]
문서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